[2021.03.21전남일보]기후환경이야기·임낙평 COP28의 여수 유치를 위하여

관리자
발행일 2021-06-23 조회수 81

 

오는 2023년 연말 개최예정인 '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이른바 COP28의 유치에 대한 여수와 남해안 남중권 주민들의 열망이 뜨겁다. 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여수나 전남도 차원에서 유치활동이 차분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전남도는 지방정부로서 2050 탄소중립과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이행정책을 발표했다. 개최지역, 개최도시로서의 기후위기 대응 의지가 담겨있다.
정부는 지난해 여름, COP28의 한국유치를 표명했다. 이후 제주와 인천, 그리고 고양(경기)이 여수에 이어 유치를 표명, 현재 국내 4개 도시가 경쟁중이다. 매년 개최되는 유엔 기후총회, COP는 대륙별로 순회하며 2주 동안 개최되며, 대략 2-3만 명의 참여하는 초대형 국제회의이다. 금년 COP26은 영국 글래스고우(Glasgow)에서 11월 개최예정이고, 내년 COP27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개최될 것이다. 현재 이집트가 개최 의향을 표명, 최종결정은 11월 COP26에서 이뤄질 것이다. 그 다음 개최지는 아시아 지역으로 아마 내년 말 결정될 것이다.
유엔 기후총회는 지구촌의 기후위기에 대해 해법을 구하는 중요한 회의이다. 이에 유엔은 200개의 정부와 유엔의 각종기구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 NGO, 산업계, 학계 등을 참여하게 하여 방대한 회의를 조직 운영해 왔다. 지구촌의 총의를 모아가자는 뜻이다. 지금까지 25차례의 회의를 거치는 동안, 가장 빛나는 성과는 2015년 COP21파리에서의 '파리협정'이다. 지난 해, 코로나19 불구하고 한 중 일이나 미국, 영국 그리고 EU(유럽연합)가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했는데, 파리협정을 준수 이행 차원에서 그런 국가기후행동을 취한 것이다.
아무튼 COP28의 한국유치, 그리고 여수유치를 위해서는 정부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 만약 유치가 된다면 한국은 COP28의 의장국으로서 기후위기대응의 국제적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이 그동안 국제사회에서의 기후후진국으로서의 오명을 털어버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도 하다. 국제적 시각에서 보면, 한국은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했지만 기후위기 대응이 미흡하다. 회의유치를 밝힌 만큼 정부는 파리협정을 준수하는 확고한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탈탄소 경제사회체제를 가져야 할 것이다.
전남과 여수 역시 지방정부로서 기후환경정책을 세계에 보여줄 수 있는 기회이다. 여수와 광양만권은 한국의 대표적인 고탄소지역이자 산업도시이다. 여수와 전남은 산업도시가 어떻게 파리협정을 준수, 2050탄소중립의 미래로 가는지, 그 모범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미래의 비전을 가질 때, 경쟁도시들보다 우위에 설 수 있다. 회의유치가 지역균형발전 , 지역경제 파급효과,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효과가 있다는 상투적 논리로는 설득력이 약할 것이다. 또한 지방정부로서 전남과 여수는 지금부터라도 세계 각국의 지방정부들과 기후환경 분야의 연대 협력에 나서야 한다. 유치된다면 그들도 이 회의에 적극 참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필자는 지금까지 NGO 성원으로 몇 차례 COP회의에 참여해 본 경험이 있다. 파리협정이 채택되었던 COP21파리(2015년, 프랑스), 트럼프의 당선으로 맥빠진 분위기에 진행된 COP22마라케시(2016년, 모로코). 마라케시는 두 차례나 COP을 유치한 바 있다. 혜성처럼 등장한 스웨덴 10대 환경운동가 튠베리가 뉴스의 초점이 되었던 COP24카토비체(2018년, 폴란드). 카토비체는 유럽 최대의 석탄도시이다. 단 1개월 만에 초대형 국제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COP25마드리드(2019년, 스페인). COP 현장에서 이들 유치도시들의 남다른 기후위기 대응 역량을 읽을 수 이었다.
지방도시이자 산업도시 여수도 COP회의를 충분히 개최할 수 있다. 빈약한 회의장은 파리나 마라케시, 카토비체처럼 가설 회의장을 설치하면 가능하다. 카토비체처럼 부족한 숙박 인프라는 인근도시를 활용하면 충분하다. 문제는 정부의 정책적 의지이다. COP28이 한국에서, 그리고 여수에서 유치되어 국제적 차원에서 위기 극복을 위한 새로운 장이 열렸으면 하는 소망을 가져본다.
임낙평 광주환경운동연합 전의장

 

Comment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