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회]영산강 살리기 방향과 과제

관리자
발행일 2017-11-28 조회수 124

4대강사업으로 영산강은 생명의 강으로서의 기능을 잃었습니다.
막힌 강은 녹조로 몸살을 앓고, 강에서 사는 생물종은 줄었습니다. 바닥에 쌓이는 오니.  정체수역에 사는 식물이 강을 덮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영산강 보개방을 확대했습니다. 6월 1일, 죽산보 개방에 이어, 11월 10일 승촌보 개방을 확대하고 모니터링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정부가 바뀌고서야, 더이상 이대로 강을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한 것입니다. 시민사회, 주민의 요구가 받아 들여진 것이기도 하고요.
영산강이 흘러야, 수질개선 생태기능 제고가 가능합니다.
영산강을 살리기 위한 방향과 과제를 주제로 11월 24일(금) 오후2시에 광주NGO센터 자치홀에서 토론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성기 교수의 발제, 양해근 박사를 비롯한  4대강사업 반대 운동과 강 살리기 활동을 해온 단체 관계자들이 토론을 하였습니다.
최근 영산강을 모니터한 결과에 대해서도 간략히 공유를 하였습니다.
이성기 교수는,  영산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여, 일관되고 지속적인 정책이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광주 구간(영사낭 중상류)의  대책, 유역권 대책 제안. 여전히 진행중인 도시개발 과정에서의 저영향개발 방안. 영산강 재자연화 등 부문별 의제를 제시하였습니다.
강을 살리는 활동을 계획함에 있어, 감성적인 접근을 경계하고, 단계적 실행 계획을 시민사회영역에서 요구해야 한다는 양해근 박사의 제언.  강에 대한 정책에서의 전문가의 오류도 시민사회가 평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
오우수 합류식 관거로 인한, 하천의 수질오염 문제 등을 현장모니터링 결과 등이 이야기 되었습니다.
강 살리기에 대한 시민들이 공감할 상을 제시하는 의견도 제시되었습니다. 하천에 대한 관심이 오히려 4대강사업으로 폭넓게 형성되었는데, 강을 살리는 과정 또한 지속적인 시민들에게 알려하는 과제도 시민단체들이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수문개방에 따른 하천 및 주변 영향과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민단체들도 주민들과 함께 지속할 것과 이후 실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모임을 다시 갖기로 했습니다.
토론회 후속 활동이 이어질 계획입니다.

 
 
 
 
 
 


Attachments

Comment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