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번째 책읽는 강연회- 숲에게 길을 묻다.

관리자
발행일 2016-11-11 조회수 338

책읽는 강연회- "책으로 만나는 세상, 책으로 만나는 기후환경이야기"  6번째 강연회가 "숲에게 길을 묻다" 김용규 저자를 모시고 진행되었다.
11월 10일, 저녁 7시, NGO센터 7층 강연장에는 숲을 통해 인간에게 이야기하고 싶은 이야기가 가득찬 저자 김용규님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시민 70여명이 모였다.
비가 추적추적 오는 가운데에도 30여분전부터 모인 시민들은 충북 괴산의 여우숲에서 사는 김용규님을 기다리리고 있었다. 김용규저자와 이날 사회를 맡은 김희련님이 서로 대담형식으로 진행된 이야기는 숲으로 왜 갔는지를 시작으로, 책을 쓴지 9년여가 지난 지금 김용규저자가 다시 이야기하고 싶은 것들은 무엇인지를 묻고 답하며 마무리 되었다.
아래는 이날 강연장에서 김희련님과 김용규님이 묻고 답했던 내용을 간단하게 기록한 것이다.
--------------------------------------------------------------------------------------
6번째 책읽는 강연회- 숲에게 길을 묻다
                                                                               사회 김희련(자운영아트 대표)
 
왜 숲으로 갔는가?
IMF, 구조조정의 시기를 경험하면서 경쟁, 차별로 사회가 운영되는 사회구도를 바꾸고 싶었다. W와 L의 구도의 사회를 벗어나고 싶었다.
내게 좋은 삶, 사람다운 삶에 대한 통절한 자각이 있었다.
 
여우숲은 어떤 숲인가?
여우숲으로 이름짓기 전에 행복하게 사는 이야기를 담는 행복숲이라고 지었다. 그런데 행복이라는 것이 상품이 되는 것을 보고 여우숲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여우숲은 지금 내가 머물고 있는 주변의 숲이다. 지리적으로는 소백산 자락의 숲이지만 숲의 의미를 담기 위해 이름을 붙인 것이다.  여우 숲은 좋은 삶을 내게 보여주고 이야기해줄 수 있는 공간이다.
여우슾은 여우를 기다리는 숲, 여우가 사라져서 여우를 기다린다.
생명이 사라지는 세상, 고도문명의 잘못된 방향, 인간의 비틀어진 욕구로 인해 사라진 여우를 여우를 기다린다는 뜻에서 여우숲이라고 했다.
이 숲을 통해 내가 배운 좋은 삶이라는 것은 첫째, 그림이 있는 삶이다. 자신이 살고 싶은 삶의 그림을 간직하고 사는 삶이다. 둘째, 생산을 하는 삶이다. 나는 현재 명의나물과 토종꿀을 하고 있다. 그런데 벌은 바이러스로 인해 사라지게 되었다. 토종벌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지만 포기했다. 지금 생산활동은 농사와 함께 나를 만나는 작업으로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린다.
 
씨앗, 숲에서 나를 찾았다고 하는데 무엇을 찾았는가?
 숲에 들어갈 때 횡성에 사는 이가 써준 글을 소개하면서 이야기를 풀고 싶다. 그는 삶의 본질을 마주하고 싶다고 선언하며 “인생을 내 의도대로 살기위해, 인생의 본질을 마주하기 위해, 그리하여 죽음을 맞이했을 때 내 삶을 후회하지 않기 위해 나는 나무를 심고 이 숲에 살고 있다” 고 썼다. 그는 자작나무 숲 미술관을 운영하는 사진작가이다.
 이 글에 대한 생각은 인생은 리모콘처럼 뒤로 돌리고, 재생하기, 앞으로 빨리 돌릴 수 없다. 아쉽고 후회스러운 날, 부끄럽게 죄를 지은 날로 돌아가고 싶다. 그런데 인생은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삶은 한번뿐이고 한번 뚝 하고 멈출 수 있다. 가짜가 아닌, 내 뜻대로 살아가고 싶은 것이 참 인생이다.
나는 살아가며 먹는 밥을 내일 또 먹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 먹는다. 도시에 나와서 밥을 먹을때는 소중하게 생각하며 밥을 먹을 시간이 되지 않는다.
 
여우숲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나에게 숲은 스승이었다. 숲을 보는 눈이 다르기에 어떤이는 숲에서 만나는 풀꽃에 대해 이름은 뭐야, 나물로 먹나. 몸에 좋나, 돈이 되나, 숲을 이용하는게 나에게 득이 되는지를 본다. 사람들은 숲을 대상화한다. 숲을 지켜내야 우리가 산다는 환경운동하는 이들의 시선 역시도 한계가 있다.
숲을 나와 다르지 않는 존재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 풀 한포기의 열망을 보아야 한다. 풀도 꽃을 피우고 싶은 열망이 있다. 또한 풀 한포기에도 상처가 있다.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없다”는 말처럼 상처가 있다. 또한 풀한포기도 고난의 시기를 겪어내야 한다. 풀한포기와 숲은 인간의 세계보다 더 넓다.
각 생명마다 자신의 성(性)질에 맞게 사는 것이 도(道)다. 조장과 억압이 우리의 기본적인 성(性)을 훼손한다. 아이들을 성장시키는 것이 조장과 억압에 의해 본연의 기질이 변한다.
모든 생명은 극복해야 할 과제가 주어진다. 삶은 숙명이다. 숲에서는 자신이 던져진 공간을 선택하지 않는다.
삶은 불완전하게 던져진다. 내가 자연으로 들어갈 때 불안했다. 생각하고 하고 싶었던 일이었지만 두려웠다. 그때 힘을 받은게 생명을 보면서였다.
생명은 모두 자신의 숙명과 불완전을 스스로 극복해가며 산다. 생명은 배우지 않아도 이를 극복하기 위해 씨앗안에 힘을 갖고 있다.
조장과 억압을 통해 극복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나 역시도 그런 시간이 필요했다. 생명이 갖고 있는 이치, 그 성질을 가지고 극복해나가고 있는 자연을 보면서 자연에 대해 배웠다.
책에서 메꽃과 명이나물을 가지고 이야기했다. 간단히 메꽃을 보면 다른 것을 감고 올라간다. 그런데 잎이 약해서 다른 생물들에게 먹히면서 산다. 그런데 갯메꽃을 보면 수분과 바람, 염분을 극복해야 하는데, 갯메꽃은 바람을 피해 바닥으로 퍼지고, 잎은 깔데기 형태로, 퉁퉁하게 두꺼운 뿌리 변해 수분을 보충한다. 또한 잎은 코팅된 반질한 잎의 형태로 염분에 적응한다.
나뭇들이 만들어낸 가시처럼 인간역시도 뜯어먹히지 않기위해 가시를 만들었다. 가난하고 두려운 나를 지키기 위해 가시를 만들었다. 식물이 스스로 성장하면 가시를 만들지 않는다.
명의나물은 부자마을에만 살아난다. 양분이 많은 숲에서 자란다. 명의나물은 햇빛을 빨리 받기 위해 초봄에 초록의 잎을 틔운다. 명의나물 역시 극복해야 할 과제를 스스로 극복해난다.
 
못하단 이야기는?
숲에게 길을 묻다는 후속의 책을 내려고 하는데, 고여있는데 아직 책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이제는 숲에게 좋은 삶을 물어보고 싶다.
숲에게 길을 묻다가 담고 있던 사유와 미처 담지 못한 정수가 무엇인가?
생명이 불완전함을 넘어 자기에 이르는 방법은 선택과 집중, 도전, 변화, 창조, 소통, 연대가 있다.
 숲을 통해 인간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인간, 새로운 차원의 삶을 향할 수 있는 존재, 그것이 바로 인간이 가진 유일성과 고유성이다. 인간만이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아니다. 그것만이 인간이 가진 독특한 성(性)이다. 보이지 않는 것을 걱정하고, 생각한다. 10년 뒤를 걱정하기도 한다. 그런데 지금은 보이는 것이 전부인 것으로 만들어내고 있다. 생존의 힘은 개별적 생명체들이 강하다고 생각한다.
삶은 네 단계가 있다.
살아남기 위한 삶 즉 생존을 위한 삶, 충만한 삶, 숭고한 삶, 초월로 나아가는 삶이라고 본다. 그런데 우리는  살아남기 위해, 생존을 위해 모든 삶의 쏟아 붓는다. 좋은 삶은 이를 이러한 단계를 넘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
삶은 빛과 그림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우리는 빛만으로 가득찬 삶을 꿈꾸기 때문에 그림자의 삶을 인정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림자를 인정하는 삶이 좋은 삶이라고 생각한다.
img_1032 img_1037
 


Attachments

Comment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