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장난개발공대위 기자회견 등

관리자
발행일 2004-10-27 조회수 98

전남(광주)지역의 골프장 난개발이 심각한 상황이다. 우리 광주,전남환경운동연합은 각 지역대책위와 환경,시민단체,농민회를 중심으로 전남(광주)골프장난개발공대위(준)를 꾸려 지역대책위 결성 지원, 골프장 폐해 현장답사 등 공동대응을 펼치고 있다. 지난 10월 6일 전남(광주)골프장공대위 기자회견과 이후 언론홍보 활동 등 진행경과를 올리며,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합니다.
골프장 관련 자료는 환경연합과 노골프 홈페이지(www.kfem.or.kr. 및 nogoif.kfem.or.kr)에서 자료 및 신문기사를 검색하시어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렇게 본다
광주·전남 46곳 골프장 추진 경쟁 주민혜택 티끌
지역경제에 부담만
광주 광산, 장성 동화, 담양 창평 등지를 비롯한 광주·전남지역 46곳에 1400여홀 2450만평 규모의 골프장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 골프장들을 계획대로 들어서면 생태계 파괴, 지하수 고갈, 생물 다양성 감소 등 후유증이 심각할 것입니다. 이 때문에 24개 시민단체는 대책위를 꾸려 이를 반대하고 저지하기로 했습니다.
골프장 건설은 건설업계와 자치단체의 이해타산이 맞아떨어지면서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눈앞의 이익만 보고 남악 새도심 270만평의 9배에 이르는 울창한 산림을 녹색사막으로 만든 뒤의 일들은 전혀 생각하지도 않는 듯합니다.
전남의 산림은 대부분 수령 30년 이상 녹지자연도 8등급지역에 해당되기 때문에 골프장에 부적합합니다. 개발 가치보다 보전 가치가 훨씬 더 큰 미래의 자원이라는 뜻입니다.
또 골프장은 지역경제를 살리는 대안이 아니며, 오히려 막개발로 지역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현재의 호황은 회원권 웃돈, 세제 감면, 지가 상승 덕분입니다. 그러나 따져보면 골프는 ‘폐쇄적 1일 관광’이기 때문에 주민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거의 없습니다. 고용효과도 일용직 30여명에 불과합니다. 10년 뒤의 수익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1980년대 이후 일본의 골프장 수는 2470개에 이르렀지만 11.4%가 도산하는 운명을 맞았습니다. 제주도는 각종 세제혜택을 주었지만 골프장 요금 인상으로 건설업자 이윤만 증대시켰고 재정수입을 확대하는 효과를 거두지는 못했습니다.
자치단체마다 앞다퉈 추진한 골프장 세우기를 포기하고 생태문화자원의 특성을 살리는 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는 발상전환이 있기를 바랍니다.
이채연/광주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팀장

“녹색사막 골프장 공동저지”
△ 광주전남녹색연합 등 광주·전남 골프장 난개발 공동대책위 소속 회원 30여명이 6일 오후 광주 전남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남도와 광주시가 추진중인 골프장 건설 사업 계획을 전면 백지화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광주/연합

시민단체들, 광주·전남 46곳 추진 맞서 연대선언
광주·전남지역에 골프장 40여곳이 우후죽순으로 추진되자 산림의 녹색사막화를 우려한 시민단체들이 본격적으로 저지운동에 나섰다.
광주환경운동연합과 광주전남녹색연합 등 24개 시민단체로 짜인 ‘광주·전남 골프장 막개발 공동대책위’는 6일 광주시 동구 광산동 전남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골프장 막개발을 저지하는 연대운동을 선언했다.
대책위는 “환경 파괴와 생태 위기를 초래할 골프장 난립 정책을 거두라”며 △전남도의 제이프로젝트 내 골프장 유치계획 백지화 △골프장 건설 터의 환경성과 경제성 검토 강화 등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광주·전남지역 안에 2450만평을 차지하는 골프장 46곳 1400여홀이 추진되고 있다”며 “이는 남악 새도심 면적 270만평의 9배에 이르는 울창한 산림이 녹색사막으로 사라진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이어 “골프장을 계획대로 추진하면 생태계 파괴, 지하수 고갈, 생물 다양성 감소 등 후유증이 심각할 것”이라며 “단기간은 투자이익이 있을지 모르나 10년 뒤의 수익성은 보장할 수 없는 만큼 신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책위는 회견을 마친 뒤 전남 장성군 황룡면 아곡리와 맥호리의 골프장 건설을 반대하는 서명용지를 전남도에 제출했다.
대책위에는 환경단체뿐만 아니라 장성 동화, 장성 황룡, 장흥 장평, 무안 청계, 담양 창평 등지 골프장 건설을 반대하는 주민단체들도 동참했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Comment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