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08. 전남일보]기후환경이야기·임낙평 신안 8.2GW 해상풍력,어디까지 왔나

관리자
발행일 2024-03-08 조회수 13

 

벌써 2년 전의 일이다. 전남도는 신안 앞바다에 2030년까지 48조 원을 투자하여 8.2GW 용량의 초대형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400개 이상의 기업이 유치되고 직접적 일자리 5600개를 포함 10만 개 이상을 창출되는 그린뉴딜 사업이라고 했다.
대통령까지 참여하여 현장 주변에서 투자 협약식도 개최되었다. 3단계로 나누어 추진되는 사업은 금방 착공할 예정이라고 했다.
2년이 흐른 지음 이 프로젝트는 어디까지 왔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실망스럽게도 진전은 없었다.
갈수록 기후위기가 가속화되고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위기가 촉발되면서,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재생에너지가 인류의 주력 에너지로 확실히 자리매김하고 있고, 그 중심은 태양광과 풍력이다. 미국 같은 에너지 과소비국가에서도 재생에너지의 전력이 원자력과 석탄을 추월했고 2030년 40% 공급을 위해 강행군 중이다. 유럽연합이나 중국도 마찬가지로 2050년 RE100(100%재생에너지)을 위해 달려가고 있다.
재생에너지 가운데 풍력, 그중에서도 해상풍력 또한 급신장하고 있다. 현재, 세계 각처에 설치되어 있는 해상풍력의 용량은 약 60GW(1GW=1,000MW= 100만KW, 영광원전 1기 용량)이지만 2030년이면 380GW, 2050년이면 30배 이상인 2,000GW 규모가 될 것으로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풍력협회(GWEA) 등 국제기구는 예측한다. 지난 2010년, 전 세계 해상풍력이 3.1GW에 불과했으나 2020년 34.4GW로 10배 이상 성장했다. 국제기구는 세계 각국의 풍력발전 정책과 기술적 잠재력 등을 종합해 전망하고 있다.
독일은 현재 8GW 도입하고 있으나 2030년이면 30GW로 늘릴, 독일을 포함 유럽연합은 60GW로 늘릴 계획이고, 해상풍력은 압도적 선두 주자인 중국은 2021년 26GW에서 2025년 60GW로 2030년이면 그 두 배 이상, 미국도 30GW 공급될 전망이다.
지난 3월, 대만의 920MW 규모의 창화 해상풍력단지가 착공했다. 해안에서 35~60㎞ 떨어진 이 단지는 2025년 완공을 목표로 덴마크의 세계적인 해상풍력 기업인 오스테드가 참여했다. 대만은 창화 해상풍력을 포함 2025년까지 5.5GW를 완공하고, 2035년까지 15GW 용량을 추가할 예정이다.
 
아시아에서 중국 다음의 해상풍력 강국이 대만이다. 베트남, 필리핀에서도 해상풍력 도입을 위한 구체적 계획이 진행 중이다.
세계는 확실히 재생에너지의 도입이 빠른 속도로 진행 중이고 해상풍력도 그런 흐름 속에 있다. 해상풍력 분야에 대규모 투자가 이뤄지고, 수많은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다. 해상풍력 선진국 덴마크는 이 분야 일자리만 하더라고 수만 개에 이르고, 중국의 경우는 수백~수천 개의 크고 작은 기업에 수십만 명이 종사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도입이 기후 에너지 위기도 극복하면서, 경제도 살리고 일자리도 창출하는 1석 4조의 효과적인 사업임을 알 수 있다. 육상이 아니라 해상이기에 고난도의 기술과, 고비용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이미 기술력과 화석연료나 원자력 보다 낫다는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 향후 전 세계 해상풍력 시장의 규모가 거대하고 열려 있다는 사실도 읽을 수 있다.
정부의 자료(2021년)를 보면 국내의 해상풍력 설치 용량은 불과 0.125GW. 국제사회에 명암 내밀기가 부끄럽다. 정부의 10차전력수급계획이나 2030 재생에너지 도입계획에 의하면 2030년까지 19GW의 풍력을, 그 중 해상풍력은 14GW를 도입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도입 목표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전남 신안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 해상풍력 계획도 제자리걸음이다.
 
정부의 역할과 의지가 중요하다. 해상풍력 도입에 따른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복잡한 인허가 절차, 재원 조달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정부는 어서 빨리 국제적 조류에 우리도 합류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만들어야 한다. 한국도 2050 탄소중립,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를 성취하고, 녹색성장과 일자리 창출, 지역발전을 추구하면서 기후위기 대응도 함께 해야 되지 않겠는가.
 
https://jnilbo.com/70405294677

 

Comment (0)